경동맥 내막 절제술을 위한 통상적 또는 선택적 경동맥 단락(선택적 단락에서의 다양한 모니터링 방법)

이 번역 내용은 유효 시한이 지났습니다. 이 리뷰의 영어판 최신 버전을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연구의 질문

경동맥 내막 절제술을 위한 경동맥 단락술의 효과를 선택적 단락술 혹은 단락을 시행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고 차단술에 적합한 환자의 다양한 선정 방법이 미치는 효과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배경

뇌졸중의 약 20%는 경동맥(혈액을 뇌에 공급하는 주 동맥)의 협착으로 인해서 일어난다. 경동맥 내막 절제술은 이 협착부를 제거하여 뇌졸중의 위험을 감소시킨다. 그러나 수술 자체가 뇌 중풍을 일으킬 위험이 5%~10% 정도 존재한다. 이 때 실리콘 튜브나 경동맥 단락을 사용함으로써 수술시간 동안 뇌에 혈류가 차단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이는 수술 전후 뇌졸중 위험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으나 동맥벽을 손상시킴으로써 뇌졸중 위험을 높이게 될 수 도 있다. 단락 수술은 3가지 범주로 분류된다. 첫째로 통상적 단락에서는 외과 의사는 모든 환자들에게 단락을 시행한다. 둘째, 선택적 단락에서는 외과 의사는 뇌에 혈액 공급이 충분하지 않은 환자에게 클램핑 후에 단락을 시행한다. 이 방법에서는 단락이 필요한 환자를 예측하기 위해서 초음파 검사 등 다양한 뇌 모니터링 기술을 사용한다. 셋째, 단락이 없을 경우는 외과 의사는 단락을 전혀 사용하지 않는다.

연구 특성

2013년 8월까지 본 검토의 대상이 되는 연구가 6건 특정되었다. 연구에는 1,270명의 피험자들이 참여했다. 검토한 시험 중 3건은 통상적 단락을 시행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였고 1건은 통상적 단락을 선택적 단락과 비교하였으며 나머지 2건은 선택적 단락에서 다양한 모니터링 방법을 비교하였다. 선택적 단락을 시행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한 시험은 아직 특정되지 않았다. 검토된 임상시험은 모두 전신마취를 통해 수술이 이루어졌다. 참가자의 연령은 40~89세였고 전체적으로 남성의 수가 여성의 수를 웃돌았다. 보고에서 참가자의 추적 기간은 30일 이하였다.

주요 결과

경동맥 내막 절제술에서 경동맥 단락 시술을 지지하는 근거는 존재하지 않는다. 본 검토에서는 단락 시술의 효능을 시사하지만 전체적인 결과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더 많은 임상시험이 필요하다.

근거의 질

무작위 임상시험의 질에 중대한 문제가 있으며 전체적으로 연구 방법론의 질이 낮았다.

연구진 결론: 

본 검토의 결론으로, 이용가능한 데이터가 매우 한정적이어서 경동맥 내막 절제술에 대한 통상적 단락 또는 선택적 단락의 사용을 지지하거나 부정할 수 없었다. 통상적 단락을 선택적 단락과 비교하는 대규모 무작위 임상시험이 필요하다. 선택적 단락을 모니터링하여 더 나은 결과를 도출하기 위한 방법은 존재하지 않았다.

전체 초록 읽기
배경: 

경동맥의 클램핑 부위를 단락시키는 경우 경동맥 내막 절제술에서 일어나는 일시적인 뇌 혈류 차단을 예방할 수 있다. 이는 수술의 결과를 개선시킨다. 본 검토는 1996년 처음 발표된 코크란 리뷰의 최신판이며 2009년에 한 번 갱신되었다.

목적: 

통상적 경동맥 단락의 효과를 선택적 단락 또는 단락 없는 경우와 비교하고 경동맥 단락에 적합한 환자의 최선의 선택 방법에 대해서 검토한다.

검색 전략: 

Cochrane Stroke Group Trials Register(2013년 8월 마지막으로 검색됨), Cochrane Central Register of Controlled Trials(CENTRAL) (코크란 라이브러리, 2013년 제8호), MEDLINE(1966~2013년 8월), EMBASE(1980~2013년 8월) 및 Index to Scientific and Technical Proceedings(1980~2013년 8월)를 검색했다. 잡지나 학회 회의록을 수기검색하고 참고 문헌 리스트를 검토하였으며 해당 분야 전문가에게 연락을 취했다.

선정 기준: 

통상적 경동맥 단락을 단락을 시행하지 않은 경우 또는 선택적 단락을 시행한 경우와 비교한 무작위 및 준 무작위 시험과 경동맥 내막 절제술을 받는 환자에서 다른 단락 조치를 비교한 시험.

자료 수집 및 분석: 

3명의 리뷰어가 독자적으로 선정 기준을 적용, 포함 규준에 반영하였다. 이번의 업데이트에서는 관련성이 있는 새로운 무작위 대조군 시험이 2건 특정됐다.

주요 결과: 

1,270명의 피험자가 참여한 6건의 시험을 선정하였다: 686명의 피험자가 참여한 통상적 경동맥 단락을 단락을 시행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한 시험이 3건이였고, 1건의 시험은 200명의 피험자가 참여한 통상적 단락을 선택적 단락과 비교한 시험이였으며 다른 1건의 시험은 253명의 피험자가 참여한 근적외 난치 분광분석법 도입 여부에 따른 선택적 단락술에 대해 다루었다. 또 다른 1건의 시험은 131명의 피험자가 참여한 뇌파기록장치 및 경동맥 압력측정을 병용해 시행한 경동맥 단락과 경동맥 압력측정만을 이용해 시행한 경동맥 단락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일반적으로, 포함된 시험에서 설명된 방법론의 수준은 질이 낮았다. 거의 모든 연구에서, 결과 평가자의 맹검과 사전 특정된 결과의 보고는 분명치 않았다. 통상적 단락과 단락이 행해지지 않은 경우를 비교할 때, 데이터가 한정적임에도 불구하고 수술 후 30일 정도에 동측성 뇌졸중이나 사망이 일어나는 비율에 대한 유의미한 차이는 존재하지 않았다. 근적외 난치 분광분석법 도입에 따른 수술 후 신경학적 결손이 일어난 데에 대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이 분석은 효과를 분명히 입증하기에는 불충분하다. 데이터가 한정적임에도 불구하고 뇌파기록장치 및 경동맥 압력측정을 병용해 시행한 경동맥 단락과 경동맥 압력측정만을 이용해 시행한 경동맥 단락의 비교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찾아볼 수 없었다.

역주: 

위 내용은 코크란연합 한국지부에서 번역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