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혈성 심부전은 심장이 몸에 보내는 혈액의 pump 능력이 감소한 질환이다. 몸은 혈액 용량을 늘리기 위해 수분을 유지함으로써 보충하려 하지만, 이렇게 되면 심장이 약해진다. 이뇨제는 체내의 수분을 줄인다. 루프 이뇨제는 소 신장 관(small kidney tube)의 깊은 부분에서 작용한다. 울혈성 심부전을 치료하기 위해 루프 이뇨제를 여러 번 주입하는 방법이 많이 사용되나 이 방법은 수액 이동이 빨라져서 부작용을 야기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울혈성 심부전 환자에게 루프 이뇨제를 지속적으로 주입하는 방법이 가끔씩 하는 것 보다 효과적이며, 부작용이 적다는 점을 확인했다.
Read the full abstract
때로 급성 대상부전 심부전(acutely decompensated heart failure)에서 볼루스를 주입하는 점을 감안하면, 루프 이뇨제는 혈관 내 용적 변화, 독성 증가와 내성 강화를 야기할 수 있다. 이러한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지속적인 주입방법이 제안되었으며 결과적으로 이뇨가 잘 되어, 증상이 신속히 사라지고 이환율과 사망을 줄이는 것이 가능할 수도 있다.
목적
울혈성 심부전(congestive heart failure) III - IV기 환자들을 치료하기 위해 루프 이뇨제를 지속적으로 혈관 내에 주입하는 방법의 효과와 부작용을 혈관 내 볼루스 주사 방법과 비교한다.
검색 전략
The Cochrane Central Register of Controlled Trials (the Cochrane Library 2003년 제 2호), MEDLINE (1966년 - 2003년, EMBASE (1980년 - 2003년)와 HEDRIN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했다. 제약회사와도 면담했다.
선정 기준
울혈성 심부전 치료를 위해 루프 이뇨제를 지속적으로 주입하는 방법과 혈관 내 볼루스 주사 방법의 효능을 비교한 무작위배정 비교임상시험연구(randomized controlled trials)를 포함시켰다.
자료 수집 및 분석
연구자 2명이 독립적으로 연구의 타당성, 방법론적 질을 평가하고 데이터를 추출했다. 포함된 연구의 유효성을 평가했다. 가능하면 연구 저자들을 면담했다. 시험을 통해 부작용에 관한 정보를 수집했다.
주요 결과
환자 254명을 대상으로 한 8건의 시험이 포함되었다. 소변 배출량을 보고한 7건의 연구에서, 지속적으로 이뇨제를 주입한 환자들의 소변 배출량(cc/24시간으로 측정)이 가중 평균 차이 (weighted mean difference, WMD) 271cc/24시간으로 많았다(95% 신뢰 구간(confidence interval, CI), 93.1 - 449; p<0.01). 두 치료 그룹 간에 전해질외란(electrolyte disturbances) (저칼륨혈증(hypokalemia), 저마그네슘혈증(hypomagnesemia))은 상대위험도(relative risk, RR) 1.47 (95% CI 0.52 - 4.15; p=0.5)로 유의하게 다르지 않았다. 이뇨제를 지속적으로 주입하면 부작용(이명(tinnitus)과 청력 손실(hearing loss))이 적게 발생했다(RR 0.06, 95% CI 0.01 - 0.44; p=0.005). 한 건의 연구에서는, 이뇨제를 지속적으로 주입하면 입원 기간이 3.1일 유의하게 줄었으며(WMD -3.1, 95% CI, -4.06 to -2.20; p<0.0001), 심장 질환으로 인한 사망은 두 그룹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RR 0.47 (95% CI 0.33 - 0.69; p<0.0001)). 두 건의 연구에서는, 두 그룹 간에 모든 원인으로 인한 사망이 유의하게 달랐다(RR 0.52 (95% CI, 0.38 - 0.71; p<0.0001)).
연구진 결론
현재 두 가지 정맥 내 이뇨제 주입 방법의 장점을 확실히 평가한 데이터는 충분하지 않다. 상대적으로 이질적인 소규모 연구를 기반으로 한 본 연구에서는 루프 이뇨제를 지속적으로 주입하면 이뇨가 효과적이며 보다 안전한 특징이 있음이 밝혀졌다. 현재의 데이터로는 임상적으로 사용할 것을 확실히 권장할 수는 없고 이 문제를 보다 적절히 해결하기 위해 대규모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코크란연합 한국지부에서 번역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