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 뇌졸중에 대한 지속적인 생리학적 모니터링과 간헐적인 생리학적 모니터링의 비교

급성 뇌졸중 환자의 혈압, 맥박, 체온, 호흡 및 심장 리듬은 자주 감시해야 할 중요한 생리학적 지표이다. 이들의 모니터링은 여러 가지 방법에서 실시되었으며 특히 조직화된 뇌졸중 집중치료실에서도 다양한 방법으로 확인이 이루어지고 있다. 지속적인 모니터링은 환자에게 연결된 자동 장비와 간호사가 감독하는 반면 간헐적 모니터링은 수동 및 휴대용 장비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급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지속적 감시와 간헐적 감시를 비교하는 시험을 조사했다. 우리는 총 354 명의 참가자를 포함한 3 개의 연구를 확인했다. 지속적으로 감시하는 뇌졸중 치료실에서는 뇌졸중으로 인한 사망과 기능 장애의 확률이 유의하게 감소했다. 안타깝게도 참가자 수가 적고, 이상치의 정의가 달리 가장 대규모 시험에서 이용된 방법의 신뢰성이 낮으므로 이 증거는 신뢰할 수는 없다. 지속적 감시를 언제 시작해야 할지, 언제 중단해야 할지, 어떤 사람을 우선으로 해야 할지, 생리학적 지표에서 이상을 인정한 경우 어떤 치료가 가장 적절한지 등의 의문이 들고, 추가적으로 더 연구가 필요하다.

연구진 결론: 

처음 2 ~ 3일 동안 생리 변수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면 결과가 개선되고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다. 생리학적 지표의 변화를 감시하는 것은 뇌졸중 집중치료실의 중요한 특징이며 활동 및 생리학적 지표의 이상을 개선하기 위한 치료에 관련된 합병증을 동반하지 않는 연속적 감시가 가장 도움이 될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많은 문제가 해결되지 않고 좀 더 연구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적절한 디자인으로 설계된 질 좋은 연구가 필요하다. 이러한 연구에는 지속 모니터링을 시작할 시점, 중단시기, 우선 순위를 부여해야하는 대상, 생리 변수의 이상 여부를 확인한 후 가장 적절한 치료법 등이 포함된다.

전체 초록 읽기
배경: 

뇌졸중 집중치료실의 효과는 여전히 밝혀지지 않고, 가장 효과적인 뇌졸중 집중치료실에 대해서도 아직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많은 서양 국가의 비침습적인 기계적 감시 강도는 다른 모델의 주요 문제 중 하나이다. 이유는 인력 수, 전문 지식, 인프라 구축 및 비용이라는 점에서 뇌졸중 집중치료실의 조직 구조에 크게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목적: 

급성뇌졸중 환자의 생리학적 반응을 관찰하기 위해 간헐적인 모니터링을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비교했을 때 그들의 사망률, 장애와 같은 예후를 바꿀 수 있는지 알기 위해 사정한다.

검색 전략: 

Cochrane Stroke Group Trials Register(2012년 11월), Cochrane Central Register of Controlled Trials(CENTRAL) (코크란 라이브러리 2011년 제8호), MEDLINE(1966~2012년 11월), EMBASE(1980~2012년 11월), CINAHL(1982~2012년 11월) 및 British Nursing Index(1985~2012년 11월)를 검색했다. 발표된 연구, 미발표된 연구, 진행 중인 연구를 확인하기 위해서 시험 등록 (2012년 11월) 참조 문헌 목록을 검색하고 학회 초록을 직접 탐색하고 연구자에게 연락을 취했다.

선정 기준: 

뇌졸중 발생 3일 이내에 간헐 감시와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비교하는 무작위, 무작위 및 유사 무작위 통제 시험을 모두 포함했습니다. 다른 상황에서의 치료의 제공 상황 때문에 혼동된 연구(개입 실시 장소가 시험 2군에서 다른 병동에서 실시한 연구)는 제외했다.

자료 수집 및 분석: 

본 검토의 저자 3명이 독립하고 대상 연구를 선출하는 방법론적 질을 평가하고 데이터를 추출했다. 2건의 시험에서 시험 실시자에서 원 데이터를 요구하며 다른 4건의 시험(학회 발표 3건, Chinese Clinical Trial Registry에서 1건)에서 그 선택 기준을 확인했다. 가능한 경우는 소정의 생리적 지표에 대해서 개입의 원인이 된 이상 역치, 해당 이상을 개선하기 위해서 실시되는 특이적 개입 및 할당된 치료의 준수(법령 준수)에 관한 데이터도 추출했다.

주요 결과: 

참가자 합계 354예의 3건의 연구가 주요 결과에 대해서 선택 기준을 충족했다. 간헐적 감시보다 연속적 감시에 의한 3개월 때 또는 퇴원시의 사망 및 기능 장애가 유의하게 감소했으며[오즈비(OR)0.27,95%신뢰 구간(CI)0.13~0.56], 퇴원시의 총 사망도 감소했지만 유의하지 않았다(OR 0.72,95%CI 0.28~1.85). 이 뜻깊은 결과는 높은 비뚤림 위험의 1건의 연구에 영향을 받았다.

연속적 감시는 자립 기능 장애(OR 0.79,95%CI 0.30~2.06), 혈관성 질환 사망(OR 0.48,95%CI 0.10~2.39), 신경학적 합병증(OR 0.81,95%CI 0.46~1.43), 입원 기간[평균 차(MD)-5.24,95%CI-10.51~0.03)및 시설 입소(OR 0.83,95%CI 0.04~15.72)을 감소했지만 유의하지 않았다. 후자 2건의 결과에 대해서 시험 간 일관한 이질성을 검출했다.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받은 참가자에서 심장 합병증 (OR 8.65, 95 % CI 2.52 ~ 29.66), 발열 (2.17, 95 % CI 1.22 ~ 3.84) 및 저혈압이 더 자주 발견됐다(OR 4.32, 95 % CI 1.68 ~ 14.38) (대리 결과).

간헐적 모니터링에 할당 된 것과 비교하여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된 참가자의 부동성 (폐렴, 다른 감염 또는 심 부정맥 혈전증)으로 인한 부작용의 증가는 없었다.

역주: 

위 내용은 코크란연합 한국지부에서 번역하였습니다.

Tools
Infor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