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폐 범주성 장애(ASD)를 겪는 환자에 대한 침술

자폐 범주성 장애 (ASD)는 일생의 발달 장애이다. ASD를 가진 사람들은 사회적 상호 작용과 의사 소통에 특별한 어려움을 가지고 있으며, 그들의 사고와 행동에 융통성이 부족하다. 현재 치유가 가능하지는 않지만 중재가 증상을 호전시킬 수 있다. 침술은 신체의 특정 부위에 바늘을 사용하거나 압력을 가하는 것과 관련이 있으며 한의학에서 중요한 치료 방법이다. 서양 국가에서 점점 더 많은 질병에 사용되고 있다. 침술은 ASD 증상을 개선할 수 있는 유용한 개입으로 간주되었지만 이에 대한 효과 여부와 안정성에 대해 철저히 평가하지 못했다.

실험 대상자를 무작위로 치료 또는 대조군 (위약, 가짜 또는 치료 없음), 즉 무작위통제연구 (RCT)의 무작위 배정을 통해 ASD에 대한 모든 침술 연구를 체계적으로 검토함으로써 ASD에 대한 침술의 효과와 안전성을 평가하고자 했다. 15건의 데이터베이스를 확인했으며 가장 최근 검토는 2010년 9월에 시행되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의 제목과 초록을 재 판독을 통해 검토된 자료의 관련성을 확인했다. 본 고찰에 10건의 RCT를 포함시켰다. 연구는 홍콩, 중국 본토 및 이집트에서 시행되었으며 3~18세 아이 390명을 대상으로 했다.

2건의 연구가 침술과 가짜 침술을 비교했고 핵심 자폐증 특징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과는 침술이 다른 분야의 의사 소통 및 언어 능력, 인지 기능 및 전반적인 기능 개선과 관련이있을 수 있음을 시사했다.

6건의 연구가 침술과 표준 치료의 병용 요법과 표준 치료의 단일 요법을 비교했다. 핵심 자폐 특징을 측정하기 위해 다양한 도구를 사용했으나 대부분은 침술로 인한 개선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1건의 연구에서 침술 요법으로 인한 자폐증 체크리스트 점수 향상이 도출되었다고 보고했다. 소통 및 언어 능력 향상을 위한 침술 요법의 효과에 대해 보고한 근거는 없었으나 인지 기능 및 전반적 기능 측면에서 이점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2건의 연구에서 지압 및 표준 치료의 병용 요법이 표준 치료의 단일 요법과 비교하여 핵심 자폐 특징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지압 요법은 부차적 결과의 일부 측면을 개선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 대상 아이의 부모가 발견한 부작용에는 두려움 및 통증으로 인한 울음, 출혈, 수면 장애 및 과민성 증가가 확인되었다. 이것이 침술 요법 때문인지 확신할 수 없다. 연구의 반이 부정적 효과를 보고했으나 얼마나 자주 또는 심각성의 정도에 대해 보고하지 않았고 일부 경우 문제점은 두 치료군 및 통제군 모두에서 발현되었다. 삶의 질을 측정한 연구는 없었다.

전반적으로 침술요법은 ASD의 핵심 특징 개선에 효과가 없는 것으로 보이나 단기적으로는 특정 발달 및 기능적 개선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거의 질이 낮아 침술에 대한 평가를 내리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연구의 수가 작았으며 아이들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또한 엄격하지 않은 방법, 연구 참여자와 중재간의 높은 이질성, 비일관적 및 부정확한 연구의 보고와 대량의 분석 수행으로 인해 결과에 비뚤림이 존재하며 유의한 결과가 우연적으로 채택되었을 가능성이 높았다.

결론적으로 현 근거는 ASD의 치료법으로 침술을 사용하는 것을 권고하지 않는다. 현 근거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대규모의 높은 질 및 긴 추적기간을 바탕으로 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연구진 결론: 

현재의 증거는 ASD 치료를 위한 침술의 사용을 지지하지 않는다. 침술이 소아의 ASD 치료에 효과적이라는 결정적인 증거는 없으며 성인을 포함한 RCT가 아직까지 없다. 더 큰 규모의 장기 추적조사를 포함한 질 높은 연구가 시행될 필요가 있다.

전체 초록 읽기
배경: 

자폐 범주성 장애 (ASD) 는 사회적 상호 장애, 의사 소통 장애, 사고 및 행동의 유연성 결여를 특징으로 한다. 침술은 신체의 특정 부위에 침이나 압력을 사용하는 치료법으로 중국 전통 의학에서 널리 사용되었으며, 서구의 의료 분야에서도 이용이 증가하고 있다. 침술은 때때로 ASD의 증상 및 결과를 개선하기 위한 치료로 사용되었지만, 임상적 유효성 및 안전성에 대한 면밀한 검토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목적: 

의사소통, 인지, 전반적인 기능 및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있어서 ASD를 가진 환자들에 대한 침술의 효과를 판단하고, 부작용 여부를 규명한다.

검색 전략: 

2010년 9월 30일 다음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했다: CENTRAL(코크란 라이브러리, 2010년 제 3판), MEDLINE(1950년~2010년 9월 둘째주), EMBASE(1980 년~2010년 제 38주 ), PsycINFO, CINAHL, China Journal Full-text Database, China Master Theses Full-text Database, China Doctor Dissertation Full-text Database, China Proceedings of Conference Database, Index to Taiwan Periodical Literature System, metaRegister of Controlled Trials 및 Chinese Clinical Trials Registry. 또한 AMED (2009년 2월 26일) 및 Dissertation Abstracts International(2009년 3월 3일)도 검색했지만 이들은 이용 불가능했다. CMLARS(Traditional Chinese Medical Literature Analysis and Retrieval System) 의 최종 검색 일은 2009년 3월 3일였다.

선정 기준: 

우리는 무작위 및 준 무작위 대조 연구를 포함했다. 우리는 ASD를 가진 사람들을 대상으로 무중재, 위약, 혹은 가짜 침술을 비교군으로 한 침술 연구를 포함했다. 우리는 다른 형태의 침술을 비교하거나 다른 치료법과 침술을 비교하는 시험을 제외했다.

자료 수집 및 분석: 

2명의 리뷰 저자가 독립적으로 데이터를 추출하고 연구의 비뚤림 위험도를 측정했다. 양분된 변수 데이터는 상대 위험 (RR), 연속 데이터에는 평균 차이 (MD)를 사용했다.

주요 결과: 

우리는 ASD를 가진 390명의 소아들과 관련된 10건의 실험을 포함했다. 연령대는 3세에서 18세, 치료기간은 4주에서 9개월까지였다. 이 연구는 홍콩, 중국 본토, 이집트에서 수행되었다.

두건의 연구에서 바늘 침술을 가짜 침술과 비교한 결과, 핵심 자폐적 특징 (RFRLRS 총점: MD 0.09, 95% CI -0.03~0.21, P = 0.16)의 1차 결과에서 아무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 바늘 침술이 부차적 결과의 일부 측면 (인지 기능, 신체 기능, 의사소통 능력) 에서의 개선과 관련이 있을 수 있음을 시사했다.

6건의 연구에서 바늘 침술과 일반 치료의 병용과 일반 치료 단독을 비교했다. 대부분의 연구에서 다른 주요 결과 측정치를 사용했고 전반적으로 침술이 ASD의 개선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증명하지 못했다. 그러나 한 연구에서 보고된 바에 따르면, 침술 중재 시 자폐증 행동 검사 목록 (RR 1.53; 95% CI 1.09 - 2.16, P = 0.02) 이 개선될 가능성이 더 높았고 조금 더 나은 치료 후 총점을 기록했다 (MD -5.53; 95% CI -10.76 ~ -0.31, P = 0.04). 인지 기능과 신체 전반적 기능의 부차적 결과에 어느 정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였지만, 침술이 의사소통과 언어능력의 부차적 결과에 효과적이라는 증거는 없었다.

2건의 연구에서 압력 치료와 기존 치료의 병용을 기존 치료 단독과 비교했으며 주요 결과에 대한 보고를 하지 않았다. 개별 연구 결과는 의사소통 및 언어 능력, 인지 기능 및 신체 전반적 기능 등 부차 결과의 특정 부분에서 효과가 있을 수 있음을 시사했다.

4건의 연구는 양적 정보가 거의 없었지만, 부작용을 일부 보고했고 이는 때때로 치료군과 대조군 모두 경험하였다. 눈에 띄는 부작용으로는 출혈, 두려움이나 고통으로 인한 눈물, 수면 장애, 과민성 증가 등이 있다. 연구들 모두 삶의 질에 대하여 보고하지 않았다.

증거 기반에는 여러 가지 문제가 있다. 연구의 수는 적었고 오직 소아만을 대상으로 했다. 6건의 연구에서 비뚤림 위험도가 높았다. 참여자와 개입 측면에서 이질적이었다. 또한 연구 기간은 짧았고 추적 조사 기간 또한 짧았다. 연구들은 일관성이 없었고 부정확한 결과를 보고했다. 많은 숫자의 분석을 진행함으로써, 거짓 긍정의 위험 또한 내포했다.

역주: 

위 내용은 코크란연합 한국지부에서 번역하였습니다.

Tools
Infor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