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 말초 신경병증에 대한 한약의 치료 효과

당뇨 말초 신경병증은 가장 흔한 당뇨 합병증 중 하나이다. 환자는 점점 신경 섬유 손상이 진행됨에 따라 말초 감각이 떨어지거나 통증을 느끼게 되며, 궤양이나 사지부 절단 등으로 끝내 업무 능력을 상실하고 삶의 질이 저하되며, 보건의료 자원 이용 증가 등의 큰 질환적 부담을 안게 된다. 본 체계적 문헌고찰은 총 3639명의 당뇨 말초 신경병증 환자가 참여한 49개의 임상시험을 분석하였다. 고찰의 업데이트를 통해 10개의 새로운 연구를 포함시켰다. 본 고찰에서는 당뇨 말초 신경병증 환자 치료를 위한 다양한 한약 처방(단일 한약제제, 특허를 받아 제조된 한약, 여러 가지가 혼합된 한약 등)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분석된 모든 임상시험들은 중국에서 수행되고 중국어로 출판되었다. 임상시험에서는 전반적 증상 호전(저림 또는 통증 개선) 및 신경 전도 검사상의 변화 등을 보고하였다. 낮은 질을 지닌 49개 연구에서 얻은 긍정적 결과는 신뢰하기 어렵다. 분석한 임상시험의 부작용 보고는 부적절했다. 대부분의 임상시험들은 부작용의 측정 여부조차 언급하지 않았다. 대조군에서 발생한 연구가 1건 있었지만, 어느 군에서 발생했는지 불명확하게 보고한 연구도 1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찰에서는 부적절한 보고의 질 때문에 한약의 안전성에 대한 결론을 내리기 어렵다. 대부분 임상시험의 방법론적 질은 매우 낮았으며, 당뇨 말초 신경병증 치료에 대한 한약 치료의 긍정적 결과는 주의깊게 해석해야 한다. 고찰 결과에 비추어 볼 때, 당뇨 말초 신경병증에 대한 한약 치료의 객관적 효과와 안전성을 지지하는 근거는 없다. 객관적 평가도구를 이용한 양질의 무작위 위약 대조 연구는 지금껏 이루어지지 않았다.

연구진 결론: 

본 고찰 결과에 비추어 볼 때, 당뇨 말초 신경병증에 대한 한약 치료의 객관적 효과와 안전성을 지지하는 근거는 없다. 객관적 평가 도구를 이용한 양질의 무작위 위약 대조 연구는 지금껏 이루어지지 않았다.

전체 초록 읽기
배경: 

중국에서는 당뇨 말초 신경병증의 치료에 한약을 자주 이용한다. 그 효능을 조사하기 위해 많은 대조 임상시험이 이루어져 왔다.

본 고찰은 2011년에 첫 출판된 코크란 고찰을 업데이트한 것이다.

목적: 

당뇨 말초 신경병증 환자에 대한 한약 치료의 혜택과 위해를 평가하기 위함.

검색 전략: 

2012년 5월 14일 Cochrane Neuromuscular Disease Group Specialized Register, CENTRAL(The Cochrane Library, 2012년 제4호), MEDLINE(1966년 1월~2012년 5월), EMBASE(1980년 1월~2012년 5월), AMED(1985년 1월~2012년 5월)를 검색했다. 중국 생의학 문헌 데이터베이스 및 중국 국가 지식 기반 데이터베이스(1979년~2012년 10월)와 VIP 중국 과학 기술 저널 데이터베이스(1989년~2012년 10월) 역시 검색했다. 미출간 자료의 검색은 중국 컨퍼런스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중국 학위논문 데이터베이스(자료 제공 시작일부터 2012년 10월까지) 를 이용했다. 분석 대상 연구의 선정은 언어 및 출판 형태에 구애받지 않았다.

선정 기준: 

당뇨 말초 신경병증 환자에게 (적어도 4주의 치료 기간을 설정하여) 한약 치료와 대조군 치료 (위약, 무치료, 서양의학적 치료)를 비교한 무작위 대조 연구를 분석에 포함시켰다. 서양의학적 약물과 한약 병행 요법을 서양의학적 약물 단독 사용과 비교한 임상시험 역시 분석에 포함시켰다.

자료 수집 및 분석: 

두 검토자가 각각 독립적으로 자료를 추출하고 임상시험의 질을 평가하였다. 일차 연구의 저자들에게도 연락하여 추가 정보를 요청하였다.

주요 결과: 

무작위 대조 연구 41건(참가자 3,639명)이 포함되었다. 모든 연구는 중국에서 수행되고 중국어로 출판되었다. 4종의 단일 약제(단일 한약의 추출물)및 특허 제조된 8종의 전통 한약, 26종의 자체 제조한 한약 처방 등 총 38종의 다양한 한약이 연구에 사용되었다. 임상시험에서는 전반적 증상 호전(저림 또는 통증 개선) 및 신경 전도 검사상의 변화 등을 보고하였다. 낮은 질을 지닌 49개 연구에서 얻은 긍정적 결과는 신뢰하기 어렵다. 분석한 임상시험의 부작용 보고는 부적절했다. 18개 연구에서는 부작용이 없다고 보고하였다. 다른 두건의 연구 중, 한건에서는 부작용이 대조군에서 나타났다고 보고하였고, 다른 한건에서는 부작용이 나타났지만 치료군 또는 대조군 중 어디에서 생긴 것인지 불분명하게 보고했다. 29개 임상연구는 아예 부작용의 발생 여부조차 보고하지 않았다. 보고 질의 부적절성 때문에, 한약의 안전성에 대한 결론은 본 고찰을 통해 내릴 수 없다. 대부분 임상시험의 방법론적 질은 매우 낮았으므로, 당뇨 말초 신경병증에 대해 본 고찰에서 분석된 한약의 긍정적 효과는 해석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역주: 

위 내용은 코크란연합 한국지부에서 번역하였습니다.

Tools
Infor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