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 허혈성 뇌졸중 환자에서 인슐린 투약을 통한 고혈당 조절

고혈당의 뇌졸중 환자는 나이, 뇌졸중 중증도의 종류를 막론하고 사망률이 증가한다. 인슐린은 혈당치를 내릴 수 있다. 뇌졸중 시 적당한 혈당치가 얼마나 되는지는 알 수 없다. 본 검토에서는 뇌졸중 후 통상적 관리와 혈당치를 4~7.5 mmol/L의 정상 범위 내에서 유지하기를 시도한 강화 인슐린 요법을 비교하는 시험을 검색하였다. 1,583명이 참가한 11건의 시험이 선정되었다. 결과적으로 뇌졸중 직후의 혈당치를 좁은 범위로 유지하더라도 신경학적 후유증 및 간병이 필요한 환자의 비율은 개선되지 않았다. 그러나 저혈당 증세가 생길 가능성이 유의하게 높아지면서 악영향을 미치고 뇌 손상 및 사망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아졌다. 모든 측면에서 고려할 때 임상시험에서 뇌졸중 후 강화 인슐린 요법의 효능은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진 결론: 

지난 검토를 갱신한 결과, 급성 허혈성 뇌졸중 발생 후 몇 시간 이내에 혈당을 특정 범위 내로 유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인슐린 정맥 내 투여는 사망 혹은 최종적인 신경학적 후유증을 개선시키지 못하며 오히려 저혈당 증세를 유의하게 증가시키는 것이 확인됐다. 특히 인슐린 정맥 내 투여로 인해 혈당치가 좁은 범위에 유지된 사람은 대조군의 사람보다 저혈당 증세 혹은 무증상성 저혈당의 리스크가 높았다.

전체 초록 읽기
배경: 

고혈당을 수반하여 급성 뇌졸중이 생긴 환자는 정상인보다 사망률, 뇌졸중의 중증도, 기능 장애의 정도가 높게 나타난다. 본문은 2011년에 처음 발표된 코크란 리뷰의 최신판이다.

목적: 

급성 허혈성 뇌졸중 발병부터 24시간 이내에 혈당을 특정의 정상 범위 내(4~7.5 mmol/L)로 유지하기 위한 집중적인 인슐린 모니터링이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는 것.

검색 전략: 

Cochrane Stroke Group Trials Register(2013년 9월), CENTRAL(코크란 라이브러리 2013년 제8호), MEDLINE(1950년~2013년 9월), EMBASE(1980년~2013년 9월)CINAHL(1982년~2013년 9월), Science Citation Index(1900년~2013년 9월), Web of Science(ISI Web of Knowledge) (1993년~2013년 9월)를 검색했다. 또, 진행 중에 있는 임상시험 레지스트리 및 SCOPUS도 검색했다.

선정 기준: 

급성 허혈성 뇌졸중 성인환자를 대상으로 인슐린 요법의 집중적인 모니터링과 통상적 관리를 비교한 무작위 대조군 시험(RCT).

자료 수집 및 분석: 

문헌 검색을 통해서 모두 1,565건의 표제를 입수했다. 2명의 리뷰어가 대상이 된 논문을 개별적으로 선정하였고 시험의 특성과 질, 교차비(OR)및 95%신뢰 구간(CI), 평균 차(MD), 표준화 평균 차(SMD)를 추정하기 위한 데이터를 추출했다. 의견의 차이는 토론을 통해 해결했다.

주요 결과: 

피험자 1,583명(치료군에 791명, 대조군에 792명)이 포함된 11건의 RCT를 선정하였다. 사망 혹은 간병이 필요한 상태에 빠지는 비율(OR 0.99, 95% CI 0.79~1.23)또는 최종적인 신경학적 후유증에 빠지는 비율(SMD-0.09, 95% CI -0.19~0.01)에서 치료군과 대조군 사이에 차이는 없었다. 저혈당증 증세를 나타내는 환자의 비율은 중재군에서 높게 나타났다(OR 14.6, 95% CI 6.6~32.2). 당뇨병(DM)와 비 당뇨 환자를 비교한 하위 그룹 분석에서 사망 및 장애발생율 또는 신경학적 후유증 발생율의 결과에 차이는 없었다. 사망 및 최종적인 신경학적 후유증의 결과에 대해서 치료에 필요한 환자수(NNT)는 유의하지 않았다. 저혈당증 증세의 유해성 발현에 필요한 환자수(NNH)는 9명이었다.

역주: 

위 내용은 코크란연합 한국지부에서 번역하였습니다.

Tools
Infor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