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양시설 거주 뇌졸중 환자를 위한 작업치료

뇌졸중은 전세계적으로 장애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이며, 요양시설 대상자에게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뇌졸중을 가진 요양시설 입소자는 가정에 거주하는 대상자보다 장애가 심하고 의존적이지만, 작업치료와 같은 뇌졸중 전문 재활을 지속적으로 받지 않는 경우가 많다. 작업치료는 일상활동에서 최대의 독립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돕는다. 지역거주 뇌졸중 생존자에게 작업치료가 효과적이라는 것을 지지하는 근거는 찾아볼 수 있다. 그러나 요양시설에 거주하는 뇌졸중 생존자는 지역사회 거주 대상자와는 다르다. 요양시설 대상자는 더욱 높은 수준의 부동, 실금 그리고 혼돈 증상을 보이기 때문에 추가적 질병에 걸릴 위험이 있다. 118명을 대상으로 한 1개 연구에 대한 리뷰에서 뇌졸중 환자 중 요양시설 입소자에게 제공된 작업치료의 이득을 결론짓기엔 근거가 불충분하다는 판단을 내렸다. 뇌졸중 환자 중 요양시설 입소자를 대상으로 작업치료를 적용한 추가적인 무작위대조 임상연구가 필요하며 현재 1개 연구가 진행 중이다.

연구진 결론: 

뇌졸중 생존자 중 요양시설 입소자의 일상생활활동의 독립성을 향상, 회복 또는 유지시키기 위한 작업치료의 효율성을 지지하거나 반박할 수 있는 충분한 근거는 찾지 못했다. 요양시설에 거주하는 뇌졸중 생존자 에게 제공되는 작업치료의 효율에 대한 근거는 불분명하며 추가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전체 초록 읽기
배경: 

뇌졸중은 전세계적인 문제이며 장애를 유발하는 질병이다. 뇌졸중을 경험한 사람 중 절반 정도가 일상생활활동에 제한을 겪고 있다. 미국과 영국의 요양시설 입소자 중 약 25%가량이 뇌졸중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요양시설에 거주하는 뇌졸중 생존자들은 신체적, 인지적으로 손상 정도가 더 심한 것으로 보고되며, 가정에서 거주하는 뇌졸중 환자보다 의존적이다. 전반적으로, 요양시설 거주자들의 75% 가량은 심각한 장애가 있는 것으로 분류되며, 뇌졸중과 더불어 이러한 장애는 높은 수준의 부동과 실금 및 혼돈을 유발하며 부가적으로 다른 질병의 이환을 초래한다. 이렇게 임상적으로 복합적 상태인 요양시설에 거주하는 뇌졸중 생존자에게 가정에서 거주하는 뇌졸중 생존자와 같은 방식의 작업치료가 효과가 있을 것인지에 대해서는 알려져 있지 않다. 뇌졸중을 가지고 있는 요양시설 입소자들은 가정에서 거주하는 집단과는 차이가 있으므로 요양시설의 뇌졸중 대상자에게 제공되는 작업치료의 이득을 조사하기 위한 리뷰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리뷰는 요양시설에 거주하는 뇌졸중 생존자들의 일상생활활동을 위한 작업치료의 효과 평가를 그 목적으로 한다.

목적: 

장기요양시설에 거주하는 뇌졸중 생존자의 일상생활활동의 향상, 복구, 유지를 목표로 하는 작업치료의 효과를 평가하고자 한다. 또한 이차적으로는 우울감이나 저조한 기분과 같은 합병증을 감소시키기 위한 작업치료중재를 평가하고자 한다.

검색 전략: 

코크란 뇌졸중 그룹 임상연구정보(Cochrane Stroke Group Trials Register)(2012년 8월), 센트럴(The Cochrane Library, 2012년 9월), 메드라인(1948년부터 2012년 9월), 엠베이스(1980년부터 2012년 9월), 그외 10개의 문헌 데이터베이스와 6개의 임상연구 등록 데이터베이스(trials registers)를 검색하였다.또한 7개 저널의 수기검색을 통해 참고문헌 목록을 확인하여 개별 연구에 대한 정보를 얻었다.

선정 기준: 

작업치료가 요양시설에 거주하는 뇌졸중 환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기존 중재와 비교한 무작위대조임상연구를 포함하였다.

자료 수집 및 분석: 

주연구자가 문헌검색을 모두 수행한 후 두 명의 연구자가 독립적으로 연구의 제목과 초록을 검토하고 제 3의 연구자를 통해 의견 차이를 해결하면서 리뷰에 포함시킬 연구를 선택하였다. 두 명의 연구자는 신뢰성 확보를 위해 출간된 논문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자료를 추출했다. 일차 결과는 계획된 추적관찰시점에서 일상생활활동 수행 정도, 사망 또는 부정적 건강결과를 이차 결과는 작업치료중재의 직접적인 목표가 된 영역으로 하였다.

주요 결과: 

118명을 대상으로 한 1개 연구가 리뷰에 포함되었으며 현재 진행중인 또 다른 1개 연구가 리뷰를 위한 선택기준에 적합하였으나 자료를 사용할 수가 없었다.

역주: 

위 내용은 박명화(충남대학교 간호대학)님이 번역하셨습니다. 번역내용과 관련한 궁금점은 mhpark@cnu.ac.kr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Tools
Infor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