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대 근무자의 근무시 졸음 및 업무 종료 후 수면 장애를 호소하는 사람의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약

교대로 근무하는 사람은 종종 근무시의 졸음이나 다음 교대 근무 사이에 취하는 수면에 문제가 있다는 보고가 있다. 이는 교대 근무 수면장애로 불리며 야간 근무 후 수면장애 및 야간 근무 중의 졸음이 지속되는 것을 뜻한다. 교대 근무 노동자의 야간 업무 후 수면의 질 개선을 목적으로 하는 멜라토닌 등의 약제의 효과를 평가했다. 또한 교대 근무 노동자의 각성 유지 보조를 목적으로 한 카페인 등의 약물 효과도 고려했다. 비용효과도 평가해야 했지만 해당하는 연구는 없었다.

연구 결과

2013년 9월 20일 까지의 문헌자료를 조사했다. 718명이 참여한 15건의 임상시험을 확인했다. 시험에서는 교대 후 멜라토닌의 효과, 수면장애 개선을 위한 최면제의 효과 및 모다피닐의 효과, 알모다피닐 효과, 교대 근무 중 카페인+낮잠의 효과를 평가했다.

수면의 길이 및 질에 대한 효과

멜라토닌을 복용한 사람은 야간 근무 이후 수면 시간이 24분 길어질 수 있지만, 잠드는데 걸리는 시간 등 다른 수면에 대한 결과에서 효과가 없을 수 있다(근거의 질 낮음). 멜라토닌 사용에 의한 부작용은 드물었다.

수면제(조피클론)에 관한 근거가 수면의 길이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에는 불충분하다(근거의 질 매우 낮음). 교대 근무 노동자에게서 수면제의 부작용에 관한 보고는 발견되지 않았다.

근무 중 각성 또는 졸음에 대한 효과

교대 근무 수면 장애를 가진 사람에 대한 3개월 동안의 추적 관찰에 따르면, 모다피닐 및 알모다피닐을 복용하는 사람은 야간근무 중 졸음이 약간 줄고 각성이 촉진될 가능성이 높다(근거의 질 중간). 단기 및 장기 추적 관찰 모두에서 가장 많은 부작용은 두통과 구역질이었다. 그러나 이 약이 시판되고 나서 심한 피부 질환이 보고되었다. 교대 근무 수면 장애로 진단되지 않은 교대 근무 노동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은 발견되지 않았다.

야간근무 전에 카페인 섭취와 낮잠을 병용한 사람은 야간근무 중 각성이 촉진된 것으로 나타난 임상시험을 1건 발견했다.

후속 연구 분야

근거의 질이 낮고 대부분 소규모 시험이다. 수면 및 각성 유도제는 심각한 부작용의 위험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유도제에 대한 이익과 해악 판단을 위해 더 많은 임상시험이 필요하다.

연구진 결론: 

멜라토닌은 야간의 수면 길이를 개선하지만, 다른 수면의 질 측정에 관련된 변수는 개선하지 않는다고 하는 질 낮은 근거가 존재한다. 모다피닐 및 알모다피닐은 교대 근무로 인한 수면 장애를 가진 고용인의 각성수준을 높이고 졸음을 약간 감소시키는 부작용을 동반한다. 카페인+낮잠은 야근 중 졸음을 완화하지만, 근거의 질은 낮다. 1건의 질 낮은 임상시험에 따르면, 최면은 수면의 길이와 질을 개선하지 않았다.

교대 근무자의 수면 장애의 진단의 유무를 불문하고, 교대 근무 노동자의 수면 유도와 각성 촉진을 도모하는 의약품 모두를 대상으로 효능 및 부작용, 비용을 고려하는 보다 질 높은 임상시험이 더욱 요구된다. 또한 부작용에 대한 체계적인 고찰도 필요하다.

전체 초록 읽기
배경: 

교대 근무는 수면 방해를 초래하는데, 이는 야간 근무 중 졸음을 유발하고 야간 근무 후에는 주간 수면의 길이와 질을 떨어뜨린다. 심각한 형태로 나타날 때 이는 교대 업무 수면 장애라고도 불린다. 다양한 약제 제품들이 졸음이나 수면 부족과 같은 증상들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된다.

목적: 

교대 근무를 하는 노동자의 졸음을 줄이거나 직장에서 각성 수준을 높이고 수면 장애를 경감시키는, 혹은 그 양쪽 모두를 목적으로 하는 약리학적 중재의 효과를 검토하고 또한 그 비용효과를 평가한다.

검색 전략: 

2013년 9월 20일까지 CENTRAL, MEDLINE, EMBASE, PubMed, PsycINFO 및 2013년 7월까지의 ClinicalTrials.gov를 검색했다. 선택한 임상시험 및 관련 고찰의 참고 문헌 목록도 조사했다.

선정 기준: 

수면 장애의 유무를 불문하고 교대 근무(야간 포함)에 종사하고 있는 근로자를 대상으로 의약품의 효능을 검토한 교차설계 무작위대조시험을 포함한 적합한 모든 무작위대조시험(RCT)을 포함시켰다. 주요 결과는 퇴근시 수면의 길이와 질이였으며, 근무중 각성 및 졸음이나 피로였다.

자료 수집 및 분석: 

2명의 저자가 독립적으로 연구 선택, 데이터 추출 및 포함된 임상시험의 비뚤림위험 평가를 실시했다. 적절하다고 판단한 경우는 메타분석을 실시했다.

주요 결과: 

총 참가자 718명을 대상으로 한 15건의 무작위 위약대조시험을 선정하였다. 9건이 멜라토닌의 효과를, 2건은 수면장애 개선을 위한 최면제의 효과를 평가했다. 졸음 감소 또는 각성을 촉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모다피닐의 효과를 검토한 연구가 1건, 알모다피닐은 2건, 또한 카페인+낮잠이 1건 있었다.

야간 근무 후의 멜라토닌 투여(1~10 mg)는 위약과 비교하여 낮의 수면 시간(평균차(MD): 24분, 95%신뢰구간(CI):9.8~38.9, 7건의 임상시험, 참가자 263명, 근거의 질 낮음) 및 야간의 수면 시간(MD 17분, 95%CI 3.71~30.22, 3건의 임상시험, 참가자 234명, 근거의 질 낮음)을 연장시킬 가능성이 있다. 용량-반응 효과는 찾아낼 수 없었다. 멜라토닌은 위약과 비슷한 정도의 수면 지연 시간을 초래할 수 있다(MD 0.37분, 95% CI : -1.55~2.29, 5건의 임상시험, 참가자 74명, 근거의 질 낮음).

1건의 질이 낮은 임상시험에서는 최면제인 조피클론 투여는 위약과 비교하여 유의미하게 더 긴 주간 수면시간을 초래하지 않았으며, 로르메타제팜의 데이터는 사용할 수 없었다.

교대 근무 수면 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한 3개월 동안의 후속 결과애서, 알모다피닐을 야간근무 전에 복용하면 Karolinska Sleepiness Scale(KSS)에서 1점 가량의 졸음이 감소할 가능성이 높고(MD -0.99, 95% CI : -1.32~-0.67, 1단계에서 10단계, 2건의 임상시험, 참가자 572명, 근거의 질 중간) 단순 반응 시간 검사에서는 각성이 50ms 길어졌다(MD -50.0, 95% CI -85.5~-15.5). 모다피닐은 동일한 환자 집단에서 졸음(KSS에 의한 평가) (MD -0.90, 95% CI -1.45~-0.35, 1건의 임상시험, 참가자 183명, 근거의 질 중간) 및 정신 운동 각성 검사로 평가한 각성에 대해 비슷한 효과를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시판 후 중증의 피부병이 보고되었다. 임상시험 참가자에 의한 부작용의 보고는 두통, 구역질 및 혈압 상승이 있었다. 수면 장애가 없는 교대 근무 종사자를 대상으로 하는 임상시험은 없었다.

1건의 임상시험에 따르면, 야간근무 전에 카페인+낮잠을 병용 시 졸음이 감소했다(KSS) (MD -0.63, 95% CI -1.09~-0.17).

종종 무작위화 방법과 배정은폐에 관해 제대로 설명되지 않았지만, 대부분의 임상시험은 비뚤림위험이 낮다고 판정했다.

역주: 

위 내용은 코크란연합 한국지부에서 번역하였습니다.

Tools
Information